본문 바로가기
한국인의 밥상

통밀가루로 쑥전(쑥지짐) 부치기

by 흥야흥야 2024. 3. 22.

며칠 전에 캐서 쑥국을 해 먹고 남은 쑥을 냉동해 놨었는데 오늘 그 쑥으로 통밀가루를 개서 쑥전을 부쳐 보았습니다. 밀가루가 없어서 통밀가루로 했는데 밀가루와 맛이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통밀이 밀가루보다 몸에 더 이롭다 해서 통밀가루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수제비를 해 먹었는데 오늘은 전을 부쳐 보았네요. 앞으로 통밀가루로 파전도 부쳐 먹어야겠다 생각하면서 맛있게 쑥 전을 해 먹었습니다. 쑥전 부치는 법 설명하겠습니다.

통밀가루로  쑥전(쑥지짐, 쑥부침개) 부치기

통밀가루로 만든 쑥전(쑥 지짐)

쑥전(쑥지짐, 쑥부침개) 부치는 재료

통밀가루, 쑥, 양파, 계란, 소금, 물, 식용유, (그 외 더 넣고 싶은 것을 자유로이 넣으면 된다.)

쑥전 재료사진(그림속에 볶은아마씨 가루인데 없어도 되는것)

통밀가루로 쑥전(쑥지짐, 쑥부침개) 부치는 방법

1. 볼에 적당량의 통밀가루와 계란, 소금을 넣고 물을 부어 반죽을 갠다.

(전을 부치는 반죽은 흘러내릴 정도라야 좋다.)

2. 냉동 쑥을 사용하였지만, 생쑥을 사용할 경우 깨끗하게 다듬고 씻어서 도마 위에 올려놓고 칼등으로 통통 두드려 상처를 내고 개 놓은 통밀가루 반죽에 양파와 넣고 잘 섞어 준다.

3. 양파는 채 썰고, 다른 채소를 추가로 넣어도 좋다.

(양파를 좀 넉넉하게 많이 넣으면 달큼하니 더 맛있다.)

4. 팬에 기름을 두르고 중불로 쑥전을 부친다. 전이 타면 불이 세니까 낮춰주고 전이 느리게 익으면 불이 약하니 더 세게 하는 등 불의 세기를 잘 조절하면서 노릇하게 전을 부친다.

(부침개의 크기는 원하는 크기로 하면 된다. 팬의 크기에 맞추든 계란프라이 정도 크기로 하든 마음대로 한다.)

5. 전을 부칠 때는 기름을 너무 적게 하면 쉽게 타니까 넉넉히 두르고 전을 부치는 것이 좋다.

통밀가루를 개어 쑥과 양파를 넣어 섞었다.
팬에 기름을 두르고 쑥전을 부친다.
기름을 넉넉히 둘러 노릇노릇하게 부침개를 부친다.
젤 마지막 쑥전은 조금 크게 부쳤다.

 

쑥전(쑥지짐, 쑥부침개)은 쑥국과 달리 쑥향이 그리 많이 나지는 않습니다. 봄이니 쑥전도 한 번 부쳐 먹음으로 몸에 새로운 기운을 주고 좋다고 생각합니다.

 

쑥을 캐는 요령

간혹 쑥과 비슷하게 생긴 식물을 쑥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비슷한 것은 국화의 새순입니다. 하지만 국화의 새순은 여름이 되어야 나오니 봄에는 헷갈리지 않을 겁니다. 혹여 여름에 국화를 보고 쑥이라고 캐시는 일은 없으면 좋겠습니다. 들판에도 얕은 산기슭에도 그 이름처럼 쑥쑥 쑥이 많이 나왔습니다. 3월, 4월, 5월에는 쑥 캐기가 참 좋은 시기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옛날과 달리 아무 곳에서나 쑥이 보인다고 해서 쑥을 캐면 안 됩니다. 깨끗해 보이는 공원에 자란 쑥은 공원관리하시는 분들이 잔디보호등의 이유로 제초제를 뿌리기 때문에 캐면 안 됩니다. 약을 치지 않고 풀 베는 차(트랙터)로 관리하는 곳은 쑥이 비교적 캐기 안전합니다. 도로변의 쑥은 먼지와 오염 물질이 많아서 안됩니다. 양지바르고 조용하고 인적이 드문 곳에서 캐는 것이 좋습니다. 봄철 우리나라에는 황사가 많이 날아듭니다. 쑥을 캐실 때는 선크림을 바르고 마스크를 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봄볕이 따뜻하다고 선크림을 바르지 않고 나갔다가는 얼굴이 많이 타게 됩니다. 옛말에 봄볕에 며느리를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을 내보낸다는 말이 있습니다. 봄볕이 그만큼 나쁘다는 이야기지요.

 

쑥 캐는 이야기가 길어졌네요. 맛있는 쑥을 사서 먹어도 좋지만 직접 캐서 쑥전(쑥지짐) 한 번 부쳐보시면 어떨까요?

좋은 금요일 보내시고 주말도 즐겁게 보내세요.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큼 달콤한 봄동초무침 만들기  (53) 2024.03.24
참치마요김밥 만들기  (50) 2024.03.23
얼큰한 조기매운탕 끓이는 방법  (51) 2024.03.21
아귀지리탕 요리법  (39) 2024.03.19
건파래무침 요리법  (62) 2024.03.18